|
No |
|
TITLE |
|
69 |
 |
|
|
|
 |
OB Van
Outside Broadcasting Van. 방송국 이외의 장소에서 중계방송을 할 수 있도록 특별히 제작된 방송용 차량을 뜻한다. 주로 스포츠나 행사, 뉴스 현장을 커버하기 위해 사용되며 녹화, 편집, 자막, 그래픽, 음향, 송신 등 방송에 필요한 모든 기능을 갖추고 있다.
|
|
|
68 |
 |
|
|
|
 |
NLE System
Non-Linear Editing System. 촬영한 영상 소스(특정 프레임이나 디지털 영상 클립)에 무작위로 접근하여 편집할 수 있는 컴퓨터 기반의 디지털 편집 시스템을 말한다. 기존의 Tape이나 필름의 경우 어느 특정 장면으로 마음대로 접근할 수 없고 앞에서부터 순서대로 읽어 나가야 하는 선형성과 다르다는 뜻으로 Non-Linear라는 명칭이 붙게 되었다. 최초의 NLE는 1971년 CBS와 Memorex의 합작사인 CMX System에서 개발한 CMX 600이다.
|
|
|
67 |
 |
|
|
|
 |
Transmission Control Room (TCR)
송출(조종)실 Transmission Suite나 Tx Room, Presentation Suite 등으로도 불린다. 주조종실에 비해서는 규모가 작고, 일반적으로 1개의 송출실에서 2개 이내의 채널을 담당한다. |
|
|
66 |
 |
|
|
|
 |
Master Control Room (MCR)
주조종실. 실제 방송이 전파를 타거나 위성 등으로 송출되기 직전의 최종적인 제어가 이루어지는 곳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소스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많은 모니터들이 벽면에 들어가고, 녹화장치와 위성수신장치, 송출장치, 방송자동화 장치 등이 비치되어 있다. |
|
|
65 |
 |
|
|
|
 |
Production Control Room (PCR)
방송제작실. Gallery 혹은 Studio Control Room이라고도 부른다. 방송국의 스튜디오에서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것을 관제하는 곳으로 카메라나 녹화 장비 등으로부터 들어오는 다양한 영상 소스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벽에는 모니터들이 가득 들어가고 영상 및 오디오 믹서, 자막 생성기, 디지털 효과 생성기 등이 갖춰져 있다. |
|
|
64 |
 |
|
|
|
 |
PBP
Picture By Picture.
모니터의 화면을 좌우로 2개로 나눈 후 서로 다른 소스로부터 입력된 영상을 나란히 표시해 주는 기능이다. |
|
|
63 |
 |
|
|
|
 |
PIP
Picture In Picture.
제2의 소스로부터 입력된 영상을 화면 속의 작은 화면에 표시해 주는 기능이다. |
|
|
62 |
 |
|
|
|
 |
Quad (Display)
모니터의 화면을 4개로 분할해서 각기 다른 소스로부터 입력된 영상을 표시해 주는 기능이다.
|
|
|
61 |
 |
|
|
|
 |
Tally
방송용 카메라(캠코더)나 모니터에 있는 작은 램프로 카메라가 녹화하고 있다는 것을 표시해 주는 기능이다. 주로 빨간색 램프가 많이 사용된다.
|
|
|
60 |
 |
|
|
|
 |
Closed Caption
선택적 자막 방송을 뜻하는 것으로 주로 오디오의 시각화를 위해 사용된다. Closed라는 용어가 사용된 이유는 자막 방송 기능이 동작하도록 선택한 시청자만이 볼 수 있도록 고안했기 때문이다. 모든 시청자에게 강제적으로 보여지는 자막은 open caption 혹은 burned-in caption, hardcoded caption이라고 부른다. 일반적으로는 caption과 subtitle이라는 용어가 혼용되지만 북미에서는 subtitle은 외국어 대사나 발음이 잘 들리지 않을 때 넣는 것으로, 그리고 caption은 청각장애인을 위해 대사 뿐아니라 주변 상황설명이나 오디오 정보에 대한 설명을 담는 것으로 구분하고 있다.
|
|
|
59 |
 |
|
|
|
 |
Audio Level Meter
SDI나 HDMI 등의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와 함께 내재된(embedded) 음향신호의 레벨을 표시해 주는 기능이다. |
|
|
58 |
 |
|
|
|
 |
Waveform Monitor
웨이브폼 모니터는 영상신호의 전반적인 밝기 레벨(Y'), 수직블랭킹간격(vertical blanking interval) 혹은 컬러벌스트(color burst) 등의 모니터링에 사용한다.
|
|
|
57 |
 |
|
|
|
 |
Vectorscope
벡터스코프는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X-Y 축 위에 각종 컬러 정보를 표시해 주는 기능이다. 주로 RGBCMY의 Hue와 Saturation 수준이 적정한 지의 여부를 보기 위해 활용된다. 원래는 별개의 계측기로 존재해 왔지만 최근에는 카메라, 캠코더, 모니터, NLE 편집 소프트웨어 등에 부가기능으로 제공되고 있다.
|
|
|
56 |
 |
|
|
|
 |
Time Code
타임코드는 녹화된 영상에 기록된 시간 데이타로서 영상을 재생할 때 읽어 와 화면에 표시해 줄 수 있다.
|
|
|
55 |
 |
|
|
|
 |
Safety Area
Overscan으로 인해 실제 방송에서는 가려지는 부분을 감안해 자막 등이 안전하게 표시될 수 있는 부분을 화면에 표시해 주는 기능이다. 아날로그 방송에서는 보통 3~5%의 Overscan을 해 왔기 때문에 통상 93~88%의 영역을 안전영역으로 설정하곤 한다.
|
|
|
54 |
 |
|
|
|
 |
Marker
4:3, 16:9, 1.85:1, 2.35:1 등 다양한 종류의 화면비율을 화면에 표시해 주는 기능이다.
|
|
|
53 |
 |
|
|
|
 |
Pixel to Pixel
1 : 1 화소 표시 기능. 주로 해상도가 낮은 모니터에서 보다 높은 해상도의 영상을 1 : 1로 표시해 주는 기능이다. 예를 들어, 1280*720 해상도의 모니터에 1920*1080의 영상을 보여 주기 위해서는 원본 영상을 1280*720 해상도에 맞춰 변환(downscaling)을 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일부 영상신호가 손실된다. 1 : 1 화소 표시 기능을 이용하면 전체 1920*1080의 화면에서 1280*720에 해당하는 부분만을 원래 그대로 보여 주기 때문에 특히 Focus를 정확하게 맞추고자 할 때 유용하다.
|
|
|
52 |
 |
|
|
|
 |
Blue Only Mode
Red와 Green 채널은 사용하지 않고 오로지 Blue 채널만으로 화면을 표시해 주는 기능이다. 이 기능은 주로 방송용 모니터나 일부 고급형 TV에서만 제공하며 SMPTE Color Bar를 이용하여 화면의 색감(t색조와 채도)을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Blue 채널만 표시되도록 한 후 원래의 Magenta와 Cyan이 동일한 밝기의 Blue가 되도록, 그리고 원래의 Gray와 Blue가 동일한 밝기의 Blue가 되도록 Color(혹은 Saturation)와 Tint(혹은 Hue)를 조절해 주면 된다.
|
|
|
51 |
 |
|
|
|
 |
H/V Delay
영상신호에 실려 오는 Ancillary(ANC) data 부분을 관측하기 위한 기능으로 캡션신호, 음향신호, 소스 ID 등과 같은 신호를 화면이나 스피커를 통해 확인하면서 동시에 Blanking 신호를 관측할 수 있는 기능이다. |
|
|
50 |
 |
|
|
|
 |
UMD
Ancillary(ANC) data의 소스 ID나 Tally 신호 등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를 화면 하단에 출력하는 기능이다. (ANC data란 SDI 신호에 임베디드된 영상신호 이외의 모든 신호를 뜻하는 것으로 음향신호와 각종 메타데이타들이 포함된다)
|
|
|
49 |
 |
|
|
|
 |
Aspect (Ratio)
화면 비율을 설정하는 기능으로 4:3, 16:9, 1.85:1, 2.35:1 등 다양한 화면비율에 대응할 수 있다.
|
|
|
48 |
 |
|
|
|
 |
Scan (Mode)
원본 영상을 있는 그대로 화면에 표시해 줄 것인지 아니면 약간 줌인(zoom-in)하여 Overscan시키거나 줌아웃(zoom-out)하여 underscan시킬 것인지 등의 여부를 선택하는 기능이다. 일반적으로 TV방송에서는 화면 경계면의 노이즈를 감추기 위해 3~5% 정도 overscan시킨다.
|
|
|
47 |
 |
|
|
|
 |
NTSC Setup (Black Level Setup)
아날로그 TV방송 초기에는 화면 노이즈 문제로 인해 Black Level을 Reference Black(0 IRE)으로부터 7.5 IRE만큼 띄우도록 세팅을 했었다. 이후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이와 같은 세팅이 필요없게 되었으나 관습처럼 굳어져 북미에서는 지금도 사용되고 있다. 같은 NTSC 방송 시스템을 사용하는 일본이나 (대부분의) 한국 방송에서는 7.5 IRE Setup을 하지 않고 0 Setup을 한다.
|
|
|
46 |
 |
|
|
|
 |
Sharpness
화면에 나타나는 이미지의 형태 혹은 경계선의 날카로운 정도를 조절하는 기능이다. 일반적으로 수치가 높아질 수록 이미지의 경계가 분명해지고, 수치가 낮을 수록 부드러워진다.
|
|
|
45 |
 |
|
|
|
 |
Hue (or (Color) Tint, (Color) Phase)
고급 컬러 조정기능이 있는 모니터에서는 주로 Hue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소비자용 컬러 TV에서는 주로 (Color) Tint라는 용어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아날로그 TV방송의 경우 컬러 제어의 원리에서 유래한 (Color) Phase라는 용어가 사용되기도 했다. 이 기능은 피부색 등 전체적인 색조를 바꾸는데 사용되며, 녹색 ↔ 적색의 컬러 축에서 조정이 가능하다.
|
|
|
44 |
 |
|
|
|
 |
Color (or Chroma, Saturation)
전체적인 채도를 조절하는데 사용되는데, 수치가 높을 수록 채도가 높아진다.
|
|
|
43 |
 |
|
|
|
 |
Color Temperature
빛을 전혀 방사하지 않고 흡수하기만 하는 이상적인 흑체(Black Body)를 가열할 때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흑체의 색이 붉은색 → 노란색 → 백색 → 하늘색 → 푸른색으로 변한다. 이러한 열과 색과의 관계를 절대온도 켈빈(Kelvin)으로 표시한 것이 색온도이다. 색온도 조정기능은 백색과 회색 계조들(중립색)의 미세한 컬러 톤을 조정하는 것으로 보통 RGB gain과 bias(혹은 offset)의 상대값을 조절하도록 고안된다.
|
|
|
42 |
 |
|
|
|
 |
Contrast
화면의 명암을 조절하는 기능으로 '곱하기 기능'이라 할 수 있으며, V = i × contrast와 같은 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어두운 색에서부터 밝은 색까지 모두 영향을 받지만 상대적으로 어두운 색에 매우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Black Level Control 이라는 용어도 많이 사용되며 Offset이라는 용어가 사용될 때도 있다.
|
|
|
41 |
 |
|
|
|
 |
Brightness
화면의 밝기를 조절하는 기능으로 '더하기 기능'이라 할 수 있으며, V = i + brightness 같은 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어두운 색에서부터 밝은 색까지 모두 영향을 받지만 상대적으로 어두운 색에 매우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Black Level Control 이라는 용어도 많이 사용된다. 혹은 Offset이라는 용어가 사용될 때도 있다.
|
|
|
40 |
 |
|
|
|
 |
SMPTE
Society of Motion Picture and Television Engineers.
1916년에 미국에서 SMPE로 최초 발족된 단체로 현재는 영상 분야의 표준화에 있어서 전세계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SMPTE는 현재 400여개의 표준과 권장규격, 지침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 표준과 규격들은 각종 방송표준이나 국제표준에 반영되고 있다. |
|
|
39 |
 |
|
|
|
 |
DVB
Digital Video Broadcasting.
디지털 텔레비젼 방송을 위한 공개된 표준이지만 유럽의 표준기관들과 유럽방송연맹(EBU)에 의해 개발되었다. 현재 유럽 및 호주, 일부 아프리카 및 아시아 국가에서 채택되었다. |
|
|
38 |
 |
|
|
|
 |
ATSC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디지털 텔레비젼 방송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설치된 정부 기관이며, NTSC와 마찬가지로 미국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규격) 그 자체의 명칭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디지털 방송을 위한 해상도, 프레임율, 인코딩 표준, 송수신 규격 등을 정의하고 있다. ATSC 방식은 현재 미국과 캐나다 및 일부 중남미 북가, 그리고 한국에서 채택되었다. |
|
|
37 |
 |
|
|
|
 |
HDTV
High Definition Television.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보다 더 선명한 화면과 16 : 9의 넓은 화면비율을 갖춘 고해상도 컬러 방송 시스템을 뜻한다. HD는 1280*720과 1920*1080의 2가지 해상도가 있으며, 프레임율은 24p, 30p, 60i, 60p 등이 있다. HD라는 용어는 이미 1930년대에 처음 사용되었으나, 현대적인 개념의 HD는 1979년에 NHK에 의해 개발되었다.
|
|
|
36 |
 |
|
|
|
 |
SDTV
Standard Definition Television.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과 동일한 해상도와 프레임율로 송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뜻하는 용어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ATSC의 경우 SDTV를 720*480 해상도의 4 : 3 화면비, 720*480 16:9 화면비, 640*480의 4:3 화면비 등으로 규격화했고 이 때 프레임율은 24p, 30p, 60i 등이다. |
|
|
35 |
 |
|
|
|
 |
SECAM
Sequentiel Couleur A Memoire의 약자로 영어로는 Sequential Color with Memory이다. NTSC 및 PAL과 마찬가지로 아날로그 컬러 텔레비젼 방송 시스템의 하나이다. 서방 국가들의 방송을 못 보게 하려는 정치적인 이유로 인해 주로 러시아를 비롯한 동구유럽의 공산권 국가들과 일부 아프리카 국가들이 채택했었다. 하지만, 냉전이 종식되고 멀티 포맷 TV가 보급되기 시작하자 많은 동구유럽 국가들이 PAL로 전환하였다.
|
|
|
34 |
 |
|
|
|
 |
PAL
Phase Alternating Line.
NTSC에 대응하는 유럽의 아날로그 컬러 텔레비젼 방송 시스템으로 유럽 뿐아니라 오세아니아, 중동, 아프리카, 남미 등에서 폭넓게 채용되어 왔다. |
|
|
33 |
 |
|
|
|
 |
NTSC
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미국의 연방통신위원회(FCC)에 의해 1940년도에 만들어진 산하 기관으로서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 표준을 개발하였다. 흔히, 그 방송 표준 자체를 뜻하는 용어로도 많이 사용되며, 이 방송 시스템은 미국을 비롯해 북미와 일부 중남미 국가, 그리고 한국, 일본, 대만 등의 아시아 국가에서 채택해 왔다. |
|
|
32 |
 |
|
|
|
 |
SDI
Serial Digital Interface. SMPTE(전미 영화방송기술인 협회)에 의해 표준화된 디지털 영상 송수신 인터페이스이다. 고화질 원본 영상을 무압축, 무부호화된 상태로 송수신하기 위해 방송국이나 스튜디오, 영화 제작 등에서 주로 사용한다. 또한, 1개의 동축 케이블로 대용량의 영상 신호(오디오, 타임코드 포함 가능)를 먼 거리에서도 송수신할 수 있으며, 해상도와 프레임율에 따라 SD-HDI, HD-SDI, Dual-Link HD-SDI, 3G-SDI 등으로 구분된다.
|
|
|
31 |
 |
|
|
|
 |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고해상도 디지털 영상과 음향을 무압축 송수신하기 위해 개발된 인터페이스로 현재 HDMI 1.4 버전까지 개발되었다. 1개의 케이블로 영상과 음향을 모두 전달하기 때문에 5개의 RCA 단자를 필요로 했던 기존의 Analog Component와 Stereo Audio 케이블을 빠른 속도로 대체하였다. 또한, 컴퓨터에 있어서도 영상만을 송수신할 수 있는 DVI를 대체하여 멀티미디어 모니터와의 완벽한 연동을 가능하게 했다. 최근에는 역시 1개의 선으로 고해상도 영상과 음향을 모두 송수신할 수 있는 DisplayPort와 경쟁하고 있다.
|
|
|
30 |
 |
|
|
|
 |
Digital Component Video
아날로그 컴포넌트 영상신호인 YPbPr에 대응하는 디지털 YCbCr 영상신호를 뜻한다. DVI(컴퓨터용), DisplayPort(컴퓨터용), HDMI(소비자용), SDI(프로용) 등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한다.
|
|
|
29 |
 |
|
|
|
 |
Analog Component Video
영상을 3개의 성분으로 구분하여 송수신하기 위해 만들어진 포맷으로 흔히 'Analog YPbPr' 영상신호를 뜻한다. YPbPr 신호는 감마 압축된(gamma compressed) R'G'B' 신호를 밝기 신호(Y')와 2개의 색차신호(B'-Y', R'-Y')로 색공간 변환을 한 뒤, 색차신호를 다시 -0.5 ~ +0.5의 범위로 스케일링해 줌으로써 구해진다. 3개의 BNC(프로용) 혹은 3개의 RCA(소비자용: 초록, 파랑, 빨강) 커넥터를 사용하여 송수신한다. 유럽에서는 SCART라는 단자를 사용하기도 한다.
|
|
|
28 |
 |
|
|
|
 |
S-Video
아날로그 텔레비젼 방송 시스템용 영상신호 포맷인 Composite Video 보다 나은 화질 확보하기 위해 밝기 신호(Y')와 컬러 신호(C')로 구분해서 송수신하는 한다.
|
|
|
27 |
 |
|
|
|
 |
Composite Video
NTSC, PAL, SECAM과 같은 아날로그 텔레비젼 방송 시스템용 영상신호 포맷을 뜻하며, 흔히 CVBS(Compostie Video, Blanking, Sync.)라고 부른다. 1개의 BNC(프로용) 혹은 RCA 커넥터(소비자용, 보통 노랑색)를 사용하여 송수신한다.
|
|
|
26 |
 |
|
|
|
 |
Digital RGB
기존의 아날로그 RGB를 대체하는 무압축 영상 포맷이다. 컴퓨터의 디지털 RGB 신호를 그래픽카드에서 D/A 컨버팅하지 않고 그대로 모니터에 전달하기 때문에 매우 선명한 영상을 기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개발된 인터페이스가 DVI(Digital Visual Interface)인데 DVI-D(디지털 RGB 전용)와 DVI-I(아날로그 및 디지털 RGB 모두 가능)의 2종류가 있으며, 데이타 처리 용량에 따라 다시 Single Link와 Dual Link로 나뉜다. 최근에는 더 많은 영상 데이타와 음성 데이타까지 고속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DisplayPort라는 새로운 인터페이스가 보급되고 있다.
|
|
|
25 |
 |
|
|
|
 |
Analog RGB
주로 컴퓨터의 영상신호를 모니터로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15 Pin Mini D-Sub 케이블(흔히 'D-Sub' 혹은 'RGB' 커넥터라고도 브름)로 연결된다.
|
|
|
24 |
 |
|
|
|
 |
Gamma
디스플레이 기기(원래는 CRT)의 입력값(전압)에 대한 비선형 발광 특성을 뜻한다. CRT는 입력전압의 약 2.0 ~ 2.7 정도의 자승값에 비례하여 밝아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 자승값을 흔히 감마(gamma)라 하며, 감마가 1.0인 경우 완전한 선형이 된다. 아주 단순화된 식으로 표현하자면 아래와 같다. (여기서 V: 출력값, a: gain, I: 입력값, b: offset)
V = a × I ^(gamma) + b |
|
|
23 |
 |
|
|
|
 |
Color Gamut
어떤 디스플레이 기기가 표현할 수 있는 색재현 범위를 뜻한다.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 업계에서는 국제조명학회(CIE)의 표준 색공간인 CIE xy 2차원 색공간에서 original NTSC(1953)의 3원색의 색좌표를 이은 삼각형의 넓이(색재현 범위)에 대비하여 특정 디스플레이의 3원색의 색좌표를 이은 삼각형의 넓이(색재현 범위)를 상대적으로 표시해 왔다. 예를 들어, HDTV의 3원색 색좌표를 이은 삼각형의 면적은 original NTSC 대비 약 72%이다.
|
|
|
22 |
 |
|
|
|
 |
Response Time
(액정의) 응답속도. LCD는 인가되는 전압에 대한 반응이 CRT나 PDP, OLED에 비해 매우 느리다. 특히, 전압이 인가될 때에는 비해 전압이 빠져 나갈 때에 매우 느리게 반응하기 때문에 잔상(Motion Blur)의 원인이 된다. 또한, 가장 밝은 색인 백색과 가장 어두운 색인 흑색간의 전환에 비해 중간색간의 전환에 더 느리게 반응하기 때문에 Gray-To-Gray 응답속도의 계측이나 MPRT(Motion Picture Response Time)과 같은 측정방법이 추가로 개발되었다. 느린 응답속도로 인한 잔상을 개선하기 위해 액정의 응답속도를 가속시키는 OverDriving 기술과 프레임율을 높이거나 블랙 프레임을 삽입하는 Frame Rate Control 기술, 그리고 백라이트를 순차적으로 점등시켜 주는 Backlight Scanning 기술 등이 활용되고 있다.
|
|
|
21 |
 |
|
|
|
 |
Viewing Angle
시야각. 자발광 디스플레이인 CRT, PDP, OLED와 달리 LCD는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고 백라이트의 빛을 투과시키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시야각이 제한된다. 가장 흔한 구동방식인 TN(Twist Nematic)의 경우 기본적으로는 시야각이 매우 좁지만 다양한 광학필터 개발을 통해 많이 개선이 되었다. 하지만, 수직 시야각의 경우 약간의 각도 차이만으로도 밝기나 명암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정밀한 컬러 작업을 요구하는 업무에는 투입될 수 없다. 이러한 TN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IPS, VA, ASV와 같은 광시야각 기술인데 액정의 배열이나 구동방법, 그리고 추가적인 필름의 적용 등을 통해 시야각을 대폭 넓혔다.
|
|
|
20 |
 |
|
|
|
 |
Contrast Ratio
명암비. 줄여서 'C/R'이라고도 표기한다. 디스플레이의 가장 밝은 색과 어두운 색의 밝기 비율을 뜻하는 것으로 휘도계 혹은 측색기로 직접 계측한 휘도(Luminance) 값을 계산해서 얻어 진다. 여러 가지 계산 방법이 있지만 통상적으로 LCD 업계에서 사용하는 명암비는 화면 전체에 백색 신호를 넣었을 때(Full Screen White)의 휘도를 화면 전체에 흑색 신호를 넣었을 때(Full Screen Black)의 휘도로 나누어 계산한다. 즉, 백색이 100cd/㎡, 흑색이 0.1cd/㎡로 계측되었을 경우 명암비는 100/0.1=1,000이므로 "명암비는 1000 : 1"이라고 한다. CRT, PDP, OLED 등의 디스플레이는 색이 들어간 면적의 크기와 배경색에 따라 휘도가 달라지므로 (면적 기준으로) 4% 박스(Box) 패턴에 흑색 배경을 사용하기도 한다.
|
|
|
19 |
 |
|
|
|
 |
Luminance
휘도. 일정한 면적을 가진 광원(예: LCD 패널), 반사체(예: 프로젝터 스크린) 혹은 투과체(예: 프로젝션 TV)로부터 나오는 빛의 밝기를 뜻하며 단위는 cd/㎡ (candela per square meter, 단위 면적당 광도)이다. 간단히 니트(nit)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공식 용어는 아니다.
|
|
|
18 |
 |
|
|
|
 |
Aspect Ratio
화면 비율. 디스플레이 패널의 수평 길이와 수직 길이의 비율을 뜻한다. 데스크탑 모니터의 경우 4 : 3, 5 : 4, 16 : 12 등의 화면비율이 널리 쓰였으나 최근에는 HD영상과 게임의 영향으로 인해 16 : 9 화면비율의 제품이 늘고 있다. 컬러TV의 경우 아날로그 방송 시절에는 4 : 3 비율이 사용되었으나 HD방송은 16 : 9의 넓은 화면비율을 사용한다. 극장의 경우 1.85 : 1이나 2.2 : 1과 같은 매우 넓은 화면비율을 사용하기도 한다.
|
|
|
17 |
 |
|
|
|
 |
Pixel Pitch
LCD 패널의 화소 간격 혹은 화소 크기. 한 화소의 중심으로부터 가장 인접한 화소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뜻하는 것으로 LCD에서는 화소의 크기와 동일하다. 동일한 화면에서 화소의 수가 늘어날 수록 해상도가 높아지고 화소의 크기(간격)는 줄어 들게 된다. CRT의 경우 모니터용은 Dot Pitch, TV용은 Stripe Pitch라고 불렀는데, CRT에서는 화소의 크기와 화소의 간격이 동일하지는 않다.
|
|
|
16 |
 |
|
|
|
 |
Resolution
해상도.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해상도는 화면 안에 몇 개의 화소(pixel)가 있는지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1920×1080과 같은 방식으로 수평과 수직의 화소수를 표시하는데, 하나의 화소는 R, G, B 3개의 하위 화소(sub-pixel)로 구성되어 있다. 화면 크기가 동일할 경우 화소수가 많을 수록(해상도가 높을 수록) 화소의 크기는 작아지므로 더욱 정밀한 영상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
|
|
|
15 |
 |
|
|
|
 |
BLU
Back Light Unit (백라이트 유닛)
LCD는 스스로 빛을 낼 수 없기 때문에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는데, 초기의 LCD는 액정의 뒷쪽에 광원을 배치하였기 때문에 백라이트라고 불리게 되었다. 모니터 및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로는 냉음극형광램프(CCFL,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가 많이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LED가 빠른 속도로 대체해 나아가고 있다. 직시형(Direct Type)의 경우 수백개의 LED 소자가 사용되어 원가가 높아지지만 국부광량제어(Local Dimming)이 가능하여 명암대비를 강화시킬 수 있다. 반면, 테두리형(Edge Type)의 경우 개선된 도광판(Light Guide Plate)을 이용하여 LED 갯수를 줄이면서도 발광효율을 높였다. 노트북의 경우 한쪽 측면에만 LED 백라이트를 배치하기도 한다.
|
|
|
14 |
 |
|
|
|
 |
LED
Light Emitting Diode (발광 다이오드).
반도체에 전압을 가하면 빛이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한 발광 소자이다. 전력 소모가 적고 수명이 길며 광량 조절이 가능하여 현재 LCD의 백라이트로 사용되던 냉음극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를 빠른 속도로 대체하고 있으며, 일반 조명시장에서도 기존의 형광등을 대체해 나아가고 있다. LCD 백라이트의 경우 RGB-LED와 White-LED의 2종류가 있는데 높은 색재현율이 필요한 분야에는 RGB-LED가, 일반 모니터나 TV용으로는 White-LED가 활용되고 있다.
|
|
|
13 |
 |
|
|
|
 |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 다이오드).
형광성 유기화합물에 전류가 흐르면 빛을 내는 전계발광 현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소자이다. 낮은 전압에서 구동이 가능하고 자체 발광하므로 백라이트가 필요없어 LCD보다도 얇은 디스플레이를 만들 수 있다. 또한, 색재현율이 높고 시야각이 넓으며 응답속도가 빨라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불리고 있다. 현재 휴대폰, MP3, PMP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표시장치로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모니터 및 TV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10인치 이상도 개발되고 있다.
|
|
|
12 |
 |
|
|
|
 |
PDP
Plasma Display Panel (플라즈마 표시패널).
PDP는 두 장의 얇은 유리판 사이에 작은 셀들을 배치하고 그 상하에 장착된 전극(+와 -)사이에서 가스(네온과 아르곤)방전을 일으켜 거기서 발생하는 자외선이 형광체를 발광시켜 가시광선을 만들어 낸다. 1927년 미국의 벨(Bell) 시스템에서 세계 최초로 단색 PDP를 개발하였으나, 현재와 같은 개념의 PDP는 미국 일리노이대학에서 1964년에 발표한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가 최초이다. 이 후 본격적인 연구개발이 시작돼 일본 후지쓰(Fujitsu)가 91년에 21인치 컬러 PDP TV를 내놓았고 1994년에는 40인치급 PDP가 개발되었다.
※ 참고 : 플라즈마는 양전하(이온)와 음전하(전자)가 같은 양으로 혼재하여 자유입자에 가까운 행세를 하면서 전기적으로 중성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
|
|
11 |
 |
|
|
|
 |
LCD
Liquid Crystal Display (액정표시장치).
액정에 전압을 가하면 그 세기에 따라 액정의 배열이 달라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빛의 투과량을 조절할 수 있다. 스스로 발광하지 못하고 색을 만들 수도 없기 때문에 백라이트(Backlight)와 컬러필터(Color Filter)를 필요로 하지만, 얇고 가벼우며 적은 전력으로도 구동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손목시계에서부터 대형 컬러TV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정보 표시장치에 활용되고 있다.
|
|
|
10 |
 |
|
|
|
 |
CRT
Cathode Ray Tube (음극선관).
음극선관은 진공된 상태의 유리관으로 내부에 장착된 전자총의 음극(Cathode)에서 전자(Electron)를 방출한 후 이를 가속시켜 반대편의 형광면에 고속으로 충돌시킴으로써 가시광선(Visible Light)을 만들어 내는 장치이다. 1987년 독일 물리학자인 Karl Ferdinand Braun에 의해 현대적인 CRT의 원형이 발명되어 브라운관(Braun Tube)라는 명칭으로도 불리게 되었다.
|
|
|
9 |
 |
|
|
|
 |
Frame Rate ( = Frame Frequency)
프레임율.
프레임율이란 1초에 몇 장의 장면을 녹화하거나 재생하는지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인간의 눈은 1초에 대략 20 ~ 30장 정도의 장면이 지나가면 자연스러운 동작으로 인식을 한다. 이에 따라, 극장용 영화는 초당 24장의 프레임이 지나가도록 설계되었으며, PAL TV 시스템에서는 이보다 1프레임이 더 많은 초당 25프레임을 채용한 반면 NTSC 방송 시스템에서는 초당 30장의 프레임율을 채택하였다.
TV 방송에서 미국과 유럽이 각각 30fps와 25fps의 프레임율을 채택한 이유는 비월주사 기술을 이용하여 각각의 Flash Rate를 60Hz와 50Hz로 만들기 위함이었다. Flash Rate를 2배로 올린 이유는 인간의 눈이 반사된 그림은 초당 20~30장이 지나가면 자연스러운 동작으로 느끼지만,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이 빛을 내는 장치의 경우 초당 20 ~ 30번 장면이 바뀌면 그만큼의 깜박임(Flicker)이 발생하기 때문에 부자연스럽게 보일 뿐 아니라 눈에 큰 피로감을 주게 된다. 따라서, 극장용 영사기의 경우 Dual Blade Shutter를 이용하여 한 프레임당 빛이 2번 깜박이게 함으로써 Flash Rate를 48Hz가 되도록 하였고, TV 방송에서는 비월주사 기술을 이용하여 한 개의 프레임을 2개의 필드(Field)로 나눔으로써 송수신 데이터의 증가 없이 2배의 Flash Rate를 만들게 되었다.
미국과 유렵이 각각 60Hz와 50Hz의 Flash Rate를 채택한 이유는 당시 사용하던 각각의 전력선 주파수와 동일하게 맞추기 위함이었는데, 당시의 기술로는 전력선 주파수와 맞추지 않을 경우 허밍(Humming) 노이즈가 발생하였기 때문이었다. |
|
|
8 |
 |
|
|
|
 |
Color Space
색공간.
인간의 눈으로 인지되는 컬러의 속성을 체계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고안된 (주로 3차원의) 공간을 뜻한다. CIE(국제조명학회)에서 공인한 색공간은 XYZ, xyY, Luv, LAB, CIECAM ’97, CIECAM 02 등이 있으며, 디지털 컬러에서는 RGB나 YCbCr, YUV와 같은 컴포넌트 색공간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밝기와 2개의 컬러 속성(예: 채도와 색상)의 3가지 속성으로 구분한 색공간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 참고 : 흔히 sRGB나 AdobeRGB 등과 같은 색역(Color Gamut)을 색공간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이는 잘못된 정의이다. 색역은 특정 색공간 내에서 어떤 출력장치(예: 모니터)가 표현할 수 있는 색의 범위를 표시한 것이다. 따라서, 같은 sRGB라 하더라도 색공간에 따라 범위가 달라진다. |
|
|
7 |
 |
|
|
|
 |
RF
Radio Frequency (무선주파수)
전자 스펙트럼, 즉 전자파가 점유하는 전체 주파수 범위 중에서 전파가 점유하는 주파수를 뜻한다. 무선 주파수는 3KHz~3THz로 그 범위는 매우 광범위하지만 그 중에서 현재 국제 조약과 전파법에 의해 규정된 범위는 9KHz ~ 275GHz이며, 그 중에서도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30GHz 이하이다. FM 라디오나 텔레비전 방송에서 사용하는 VHF(Very High Frequency)의 경우 30 ~ 300MHz 범위를 사용하며, HD방송은 300 ~ 3000MHz의 UHF(Ultra High Frequency)을 사용한다.
방송기기에 있어서 RF라는 것은 흔히 TV방송 송수신용으로 변환된 RF Signal을 뜻하며, RF Connector는 1개의 선으로 된 동축 케이블로서 방송용 RF Signal을 입출력할 수 있는 단자를 뜻한다.
|
|
|
6 |
 |
|
|
|
 |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현장 프로그래밍 가능 게이트 배열: 설계 가능 논리 소자)
비메모리 반도체의 일종으로 회로 변경이 불가능한 일반 반도체와 달리 여러 번 회로를 다시 새겨 넣을 수 있는 반도체이다. 오류 발생시 수정이 가능하고 개발 시간이 짧으며 초기 개발비용이 적게 든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속도가 느리고 복잡한 설계에 적용이 불가능하며 소비전력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
|
|
5 |
 |
|
|
|
 |
LUT
Look Up Table (참조표)
디지털 이미징에서의 LUT는 주로 바람직한 출력값이 구현될 수 있도록 입력값에 대해 1 : 1로 치환시키는 참조표를 뜻한다. 예를 들어, 모니터의 컬러 보정에 있어서 Grayscale의 색온도나 감마를 맞추기 위해 LUT를 사용하는데 사전에 계측한 값과 바람직한 값 사이의 차이를 계산하여 최적의 LUT를 만들게 된다.
|
|
|
4 |
 |
|
|
|
 |
Deinterlacing
비월주사(Interlaced Scanning) 방식으로 녹화되거나 제작된 영상을 순차주사(Progressive Scanning) 방식의 영상으로 변환시키는 프로세스를 뜻한다. NTSC나 PAL과 같은 아날로그 TV 시스템에 의해 만들어진 영상과 480i나 1080i 포맷으로 제작된 디지털 영상들이 모두 비월주사 방식으로 만들어진 영상에 속한다. 반면에 480p, 720p, 1080p와 같은 포맷으로 제작된 영상들은 순차주사 방식으로 만들어진 영상이다.
|
|
|
3 |
 |
|
|
|
 |
DID
Digital Information Display (디지털정보표시장치)
LCD나 PDP와 같은 대형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Flat Panel Display)을 사용하여 각종 정보나 광고를 표시하는 기기를 뜻한다. 주로 공항, 기차역, 버스 터미널 등의 공공장소나 백화점 등 많은 사람이 모이거나 지나가는 곳에 설치하여 공익적인 내용이나 상업용 광고를 표시하는데 활용된다. Digital Signage라 불리기도 한다.
|
|
|
2 |
 |
|
|
|
 |
Color Calibration
Monitor Color Calibration (모니터 색보정)
모니터의 색을 특정 표준이나 사용자가 목표로 하는 표준 색감이 출력될 수 있도록 보정하는 것을 뜻한다. 주로 백색과 흑색의 휘도(Luminance), 감마(Gamma), 백색과 회색 계조들의 색온도(Color Temperature), 밝기 및 색균일성(Uniformity) 등을 특정 표준이나 목표에 맞게 보정한다. 일반적인 데스크탑 모니터의 경우 DataColor社의 Spyder 시리즈나 X-Rite社의 Eye-1과 같은 제품을 사용하며 보정하며, 방송용이나 그래픽, 의료용 모니터의 경우 공장에서부터 보정이 되어 나오며 제조사에서 별도의 보정용 소프트웨어를 제공한다.
|
|
|
1 |
 |
|
|
|
 |
UDTV
Ultra High-Definition TV (초고해상도 TV)
HD를 능가하는 초고해상도 TV 시스템으로 일본의 국영방송사인 NHK가 주도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현재 HD 방송은 1920*1080의 Full HD 해상도와 5.1채널 오디오를 지원하고 있는데, UDTV는 HD보다 16배 더 높은 7680*4320의 높은 해상도와 22.2채널의 오디오를 지원한다. 따라서, Wide Quad High Definition(WQHD) 혹은 Quad Full High Definition(QFHD)라 불리기도 하며, NHK는 Super Hi-Vision(SHV)이라고 부르고 있다. |
|
|